파이썬 상수

파이썬 상수

[둘째날] 파이썬 상수

프로그램을 개발하다보면, 꼭 필요로 하는게 상수입니다.

상수는 값을 변경 못하는 값을 담은 value타입을 말합니다. (파이썬은 레퍼런스타입이겠죠^^)

그런데, 파이썬은 상수를 지원하지 않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전 개인적으로 이해는 되지는 않습니다. 왜 상수를 지원하지 않는 것인지.

하지만, 또 한편으로는 "없어도 되지 않을까" 생각도 들긴 합니다.

문법적 정리와 파일 정리로도 충분하닌까요.

검색된 자료에 보면, 5가지 정도로 상수로써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1. 문법적 관리

2. 모듈(파일) 관리

3. Type 어노테이션/힌트

4. 클래스 예외발생

5. 클래스와 데코레이터

상수하나 배우는데 별개 다 나오네요. ㅎㅎ;;

여기서, 나만의 생각 코너로 여러분들을 모시겠습니다.

프로그램을 개발하는것은 모든 문법과 관례를 꼭 이행해야 할 의무가 없습니다.

공동개발을 제외한 개인 프로젝트 및 소규모 프로젝트는 미팅으로도 소통이 가능하닌까요.

상수하나 배우는 어려운 영어 접하면, 더 나아가지 못한다고 전 생각합니다.

일단 5가지 중 이해하는 것을 선택해서 모르는 것은 패스하고 넘기도록 하겠습니다.

전 1번과 2번이 딱 제 스타일 같습니다.

1번과 2번을 이해해보기로 하겠습니다.

사람이 모이는 곳은 관례가 있다.

개발자들은 관례상 상수를 대문자로 식별합니다.

이것만으로도 전 개발하는데 불편함은 없을 것 같네요.

A_CONST =1 // 난 이걸 상수로 쓸거야.

a_var = 1 // 이건 그냥 변수이고

이런식으로 그냥 "대문자는 상수이다" 머리에 집어넣고 개발하면 끝이죠. 사실 간단합니다.

하지만, 프로그램 개발이 페이지 하나로 되겠나요.

그래서 전 2번까지 이해하기로 결정한것입니다.

PHP로 이해하면 include 개념으로 파일을 관리하는 것입니다.

파이썬은 import를 쓰는군요. 폴더까지 만들어서 예제를 만들고 싶지만, 그냥 main.py가 있는 곳에 만들어서 예제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1번과 2번으로 공부한 내용 예제입니다.

1. main_constant.py를 하나 만들었어요, main.py에서 쓸 상수를 정리한 파일명입니다.

2. main_constant.py 소스

A_CONST = 10

3. main.py를 만들어줍니다.

4. main.py 소스

import main_constant

print(main_constant.A_CONST)

컴파일 해보면 10 결과값이 나옵니다.

하지만, 파이썬에서 상수가 안된다고 하니

main_constant.A_CONST = 30

print(main_constant.A_CONST)

요런식으로 값을 변경하게되면, 결과값이 30으로 변경이 되겠죠.

상수가 아닌것입니다. 다만, 여기서 중요한것은 개발자는 내가 상수로 쓰겠다는 것을 알고 있다는 것입니다.

굳이 저 값을 변경할 필요가 없는것이죠.

전 개인적으로 개발하면서 상수를 쓸 이유와 변수를 쓸 이유를 알기 때문에 파일과 폴더관리가 편한 모듈관리로 결정한 것입니다. 여러분들도 크게 고민하지 마시고, 자신에게 맞는 것으로 공부를 진행하시길 바랍니다.

상수하나로 여러가지 덧붙여서 알아야 하는게 코웃음을 만드네요,

다음 셋째날이 기대되네요. 파이썬 양파같아요~~ ㅋㅋㅋ

포스트배움닷컴 : http://postbaeum.com/

소스파일 다운로드 : http://postbaeum.com/Python/2

728x90

from http://modoojumak.tistory.com/68 by ccl(A) rewrite - 2021-09-07 00:00:19